2017년 상속세 면제 한도액 부동산 아파트 확인하기
사람이 태어날때는 순서가 있어도 갈때는 순서가 없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내용이지요. 때문에 틈틈히 상속세 면제 한도액 등을 확인하여 이왕이면 세율을 적게 내고 상속을 많이 하는 것이 부모가 원하는게 아닌가 생각을 해봅니다.
① 오늘 살펴보는 곳은 유용한 사이트를 통해서 직접 조회 / 계산을 해볼께요
아래 부동산114로 이동을 합니다.
이 곳에서는 부동산 뉴스 뿐만이 아니라 전세, 월세 부동산 시세등 유용한 정보를 많이 얻을 수 있으니 꼭 부동산 상속세만을 위해서가 아니더라도 한번씩 둘러보면 좋을듯 합니다.
② 공홈 - 부동산계산기 로 이동합니다.
KOAPI, 분양알리미 등 여러 메뉴가 있지만, 오늘 궁금한 것은 계산기 기능을 활용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③ 부동산 상속 증여시 궁금한 상속세 / 증여세 무료계산기
여러 메뉴중에서 상속세로 이동합니다. 양도소득세, 취득세, 중개보수 뿐만이 아니라 재산세 종부세 그리고 상가 투자수익률 같은 여러가지 정보들도 함께 알아 볼 수 있으니 같이 둘러 보시길 권장합니다.
④ 비과세 여부와 상속세 납부금액을 계산 가능
상속자의 가족관계 확인이 필요한 여부에 따라서 과세판정이 결정되기 때문에 여러분이 궁금한 내용을 기입하여 진행해 봅니다.
배우자 유 / 무, 자녀수, 연로자, 미성년수, 장애인 등을 확인이 필요합니다.
연로자는 만 65세 이상을 말하며, 미성년자는 만 19세이하를 기준으로 합니다.
⑤ 샘플로 기입하여 계산을 진행해 보겟습니다.
배우자 유, 자녀 2명, 연로자 1명, 미성년자수 2명, 나이 각 7세, 5세, 장애인 없음을 기준으로 하여 계산 버튼을 눌러 그 값을 확인해 보지요.
⑥ 아파트 상속세 면제 한도액 판정 결과
배우자 5천, 자녀 각 5천, 연로자 5천, 미성년자 26천 기초 20천 등을 받아서 111천만을 공제로 받게 되는군요.
여기서 중요한 점은 상속 받을 재산이 위 계산된 금액 보다 크면 상속세를 납부의 의무가 있다는 것입니다.
⑦ 자녀 2명, 배우자 유 인 경우의 공제액
⑧ 자녀 1명, 배우자 유, 연로자 65세 이상 1명 인경우 공제액
⑨ 다시 짚어 보는 상속세란?
사망 등의 이유로 재산이 가족 혹은 친족에게 무상으로 넘어가는 상황에서 상속재산에 대한 부과 되는 세금을 말합니다. 6개월 이내에 피상속인 주소지 세무소에서 신고 및 납부의 의무가 있지요.
⑩ 상속의 순위 < 민법 제 1000조 >
1순위- 직계비속 배우자, 2순위 - 직계존속과 배우자, 3위 / 5위 위 표 참고
여기서 태아는 상속 순위 계산시에 이미 출생한 것으로 봅니다.
⑪ 상속세 신고기한 및 제출 대상 서류
상속 개시일 속하는 달 말일을 시작으로 하여 6개월 이내 해야 하며 그 예외의 경우는 피상속인 / 상속인이 비거주자인 경우는 9개월 이내에 이뤄져야 합니다.
상속세 신고시 필요한 서류도 많으니 꼼꼼하게 챙겨야 합니다.
⑫ 관련 과세표준 ( 1억 ~ 30억 초과)
1억이하 10%, 5억 이하 20%, 10억 이하 30%, 30억 이하 40%, 30억 초과 50%의 세율이며 누진 공제는 30억 초과 기준으로 4억 6천만원 이 되겠습니다. 이 기준은 2000년 부터 시작 되어 현재까지 정해진 세율입니다.
⑭ 과세표준 7억원 기준으로 산출세액 계산법
(7억원 X 30%) - 6천만원 = 1억 5천만원정 금액의 세금을 정해진 세무소에 제출을 해야 합니다.
아깝긴 하지만 대한민국의 국민으로 살아가고자 한다면 어쩔 수 없이 내야 하는 세금이니 꼼꼼하게 확인을 하여 상속세 면제 한도액 등의 정보를 잘 파악해야 하겠습니다.
★ 같이 읽으면 도움 되는 글
[경제 정보] - 상속세 계산법 알아보자
[경제 정보] - 현금 증여세 계산 방법
KDEMARCO
각종 할인정보와 생활에 유용한정보를 올리는 블로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