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이 싫어 하는 이런 저런 보험료 / 세금들은 어떻게든 피하고 싶지만 어쩔 수 없이 매월 월급날 자동공제 되는 슬픔을 격게 됩니다. 아끼고 싶지만 그럴 수 없다는 사실에 눈물이 앞을 가리지만 대한민국의 국민으로써 좋은 곳에 사용될 것을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① 4대보험 계산기 동작 화면
여러분들이 궁금해 하는 연금보험료 계산, 고용보험료, 국민건강보험, 산재보험료 등을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실제 신고소득월액을 1백만원으로 가정하여 모의 동작을 시켜 보았습니다.
② 4대보험 계산기 이용하기
③ 공홈 - 하단부의 알아보기 메뉴
이 곳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는 것은 위와 같이 4대보험 계산기 및 기초연금 알기, 내연금 조회, 웹팩스 수신조회, 사규 등 과 같은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지요.
④ 잠시 기다리면 4대 보험료 간편계산기 팝업이 나옵니다.
⑤ 연금보험료 계산 - 1백만 입력 (예시)
근로자 부담금은 기준 월 소득액의 4.5%, 사용자 부담금은 기준소득월액의 4.5%가 됩니다. 이 금액은 근로자와 사용자(사업자)가 50%씩 부담하기에 이렇게 계산이 됩니다. 단, 지역가입자나 임의(계속) 가입자의 경우에는 본인이 전액을 부담하게 되지요. 1백만원 기준 * 연금보험률 9% = 9만원 이 공제 되겠습니다.
자동이체를 신청하게 되면 매월 230원의 감액도 있으니 필요시에는 적용해두면 편리합니다.
⑥ 고용보험료 계산 1백만원 샘플
신고소득월액이 1백만원 기준으로 하여 계산을 해보도록 하지요. 근로자수는 150이상, 1000인 이상, 150인 이상 1000인 미만, 150미만 중에서 첫번째 있는 150미만을 선택하여 계산을 해보았습니다.
근로자 부담액 ( 실업급여 부담률 )의 겨우에는 6천5백원, 사용자 부담액( 실업급여 + 고용안정, 직업능력 개발사업 요율 )의 경우 9천원 총 1만5천5백원이 되겠습니다.
이 계산은 위 표와 같이 실업급여의 경우 근로자 0.65%, 사업자 0.65%로 계산이 되며 고용안정, 직업능력 개발 사업 구분에 따라 0.25% 부터 0.85%씩 계산에 차이가 있습니다.
⑦ 국민건강보험 계산 예시 - 1백만 기준
2017년 사대보험 계산기 3번째 화면으로 건강보험료는 보험료율은 6.12% 근로자와 사업주 각각 50%씩 부담을 합니다. 그리고 장기요양보험료의 경우 건강보험료를 기준으로 보험료율은 6.55% 근로자 가입자 부담 50% 사업주 부담 50% 씩 구분이 되지요.
1백만원 기준시 건강보험료는 61,200원, 장기요양보험료는 4000원 계산이 되어 총 65200원이 되겠습니다.
⑧ 산재보험료 계산하기 (부과고지 사업장 인 경우)
보험료 계산은? 월평균 보스금액 * 보험료율 / 1,000 이 되겠습니다. 이 기준은 2016년 10월 27일 최신 기준이기 때문에 고용산재보험 가입 사업장의 경우 회사 보험관리번호조회하기를 통해 업종을 확인가능 하지요.
⑨ 산재보험료 ( 자진신고 사업장 )
위에 언급된 4대보험 계산기는 국민연금관리공단을 통해 확인 가능하니 그 정보의 정확성은 이타 어느 사이트를 통해서 확인을 하는 것보다도 정확하며 신뢰도가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필요시에는 대표전화 1355로 연락을 하시어 문의를 하면 되겠습니다.
KDEMARCO
각종 할인정보와 생활에 유용한정보를 올리는 블로그입니다.